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에 정리해드릴 정보는
대기업 기준 & 중견기업 기준 입니다.
저희 남편은 소위 말하는 대기업에 다닙니다.
대기업, 중견기업이 있지만,
우리는 중견기업을 대기업으로 잘못아는 경우도 있고~
대기업인데 중견기업이라고 잘못아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기업 중견기업 기준이 뭘까요?
나라에서 인정하는 대기업 기준 은 매출액 10조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진단을 말합니다.
대기업 집단으로 분류가 되면
회사 규모를 키우는데 제한 요소가 많아지고,
영업활동과 관련해서도 상시 감시를 받게 됩니다.
누구나 아는 대기업 이면 모를까
기업 입장에서는 꼭 대기업이 된다고 좋은건 아니겠네요.
물론 지원 받는 부분도 있겠죠?
대기업 기준에 대해서 설명을 조금 더 드릴께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즉,
대기업을 공정위에서 메년 정합니다.
계열사 자산의 합계가 10조원이 넘는 기업은 대기업이 됩니다.
예전에는 기준이 5조원 이었던걸로 알고있는데
현재는 10조원으로 상향됐습니다~
이 부분으로 예전 카카오가 대기업으로 분류됐다가
빠지는 일이 있었었죠. 기억나네요.
그렇다면 중견기업 기준 은 어떻게 될까요?
대기업 집단 아래 집단이 중견기업 입니다.
매출액 120억원에서 10조원 사이
매출액 10억원에서 120억원 사이의 기업을 소기업 이라고 합니다.
직원들 연봉, 복지 이런것은 대기업 기준에 영향이 없습니다.
이런것도 영향이 있다고 잘못아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대기업 중견기업 소기업 기준은 매출액에 따라 분류 됩니다.
이 한줄로 오늘 포스팅 정리 할 수 있겠네요.
대기업은 매출액 10조원 이상
중견기업은 매출액 120억원 ~ 10조원 미만
소기업 매출액 10억원 ~120억원 미만
이것으로 오늘 준비한 정보 정리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