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포스팅 주제는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조회 방법 입니다.
주택이나 토지를 매입하여 소유권 등기를할때
반드시 국민주택채권을 함께 매입하게 되어있는데요.
채권을 매입할 여렵이 없을때,
일정한 손해를 보고 되팔수가 았습니다.
이때 손해보는 금액을 국민주택채권 할인율이라고 합니다.
여력이 되는 분들은 주택이나 토지 매입 후에,
소유권 등기할때 채권도 함께 매입하고, 이자를 받고, 5년뒤에 목돈을 타면 됩니다.
채권 수익율이 낮은 편이라 큰 이득을 보지는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매입 후, 바로 판매를 합니다.
주택가격에 따라 얼마의 채권을 매입해야할까요?
<매입금액 = 시가표전그액 * 매입율> 이렇게 계산해서 매입합니다.
매입율은 각 항목의 시가표준액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지역에 따라서도 다르게 책정됩니다.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조회 방법을 알아보기전에
간단하게 정리한다는게 왠지 복잡 머리만 아파졌네요^^
이제 이야기 그만하고 오늘 주제 정리로 바로 넘어가도로 할께요.
국민주택채권 할인율은 주택기금공사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할인율이 매일 바뀌기 때문에 여기서 당일 확인을해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청약/채권 메뉴 > 제1종국민주택채권 > 채권매도단가/수익률/할인율
이 순서대로 따라서 들어가세요.
기준일을 정하고 조회 누르세요.
오늘날짜는 2019년 5월 20일 입니다.
아래 표를 보면 5월달 국민주택채권 매도단가/수익률/할인율 이 나옵니다.
매일 바뀌기 때문에 조회방법을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매입할 수 있는 은행 알려드릴께요.
우리은행, 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국민주택채권은 국채에 해당돼서
소명시효가 완성된 채권은 국고에 귀속되므로
반드시 상환일 또는 소멸시효가 완성되기전에 상환받아셔햐 합니다~
상환기간은 발행일로부터 3년이니, 잊지마세요.
오늘 준비한 포스팅 정리는 여기까지에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